물산업 관련뉴스

[기고] 부산시민은 안전한 수돗물 언제쯤 마음 놓고 마실 수 있을까?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2023. 6. 16. 10:42

▲김현택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장

부산은 부산의 상징인 넓은 바다를 배경하고 있으면서 물문제로 고통을 받는 도시다. 낙동강 최하류 하천수를 취수한 물을 수돗물로 마시는 도시는 부산일 것이다.

거기다 취수원 상류지역에는 군소공단이 밀집되어 그곳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그대로 취수원인 낙동강으로 유입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부산은 과거 낙동강 페놀오염의 악몽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녹조류, 남조류 등의 조류 발생뿐만 아니라 깔따구 발생 등 먹는 물에 대한 불안이 일상화 되어있다.

부산시와 정부는 30여년 세월 동안 부산시민의 물 문제해결을 한다고 내놓은 정책이 경남의 합천 황강 복류수(45t)와 창녕의 강변여과수(45t)를 개발해 경남 중동부(48t 우선 배분)와 부산(42t)에 공급하는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사업 추진이다.

그러나 합천과 창녕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진행이 되지 않고 있다. 이러다보니 부산시민은 어쩔 수 없이 낙동강 하류수를 이용한 수돗물을 먹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덕산정수장, 화명정수장, 명장정수장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정수장시설들이 노후화 되어서 밸브교체 등 잦은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금번 밸브교체공사로 수돗물공급에 문제가 발생했듯이 화명정수장의 경우는 매우 심각하게 노후화되어 당장 시설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6월초 화명정수장에서 밸브교체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지오스민 물질이 정수되지 않아 흙냄새가 나는 수돗물이 공급되어 시민들의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부산시는 정수장에 대한 종합적인 정비계획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한다고 하지만 임기응변 처방에 그치고 말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부산시는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결 할 수 있는 항구적인 조치들을 강구해야 한다. 이에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에서는 근원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장 먼저 농업용·공업용을 먼저 이용하고 최후로 남은 물을 식수로 이용하게 하고 있는 현행 댐관리규정을 전면 개정토록 정부에 적극 건의하여 관철시켜야 한다.

낙동강 수계는 상류지역 고지대에 댐들이 있는 반면, 낙동강 수계 낮은 지역에는 수많은 공단들이 입주해 있어 1차로 공단 오폐수를 처리한다지만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낙동강으로 방류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현행 댐관리규정을 개정해 댐물을 우선 식수로 사용하게 하고 나머지 낙동강물을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 사용하도록 하여 식수가 우선이 되는 물 정책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선 낙동강 수계를 따라 상류지역 공단에서 1차로 처리한 오폐수를 수계에 관로를 설치해 하류로 보낸 후 하류인 부산쯤에서 하수종말처리를 한다면 낙동강물이 크게 오염되지 않아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부산은 상징적인 바다를 이용한 해수담수화와 낙동강 유역을 이용한 기수담수화를 적극 검토해 원수확보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낙동강만을 고집하지 말고 물 정책에 대한 고정관념을 과감히 탈피해야 한다. 실제 부산시민은 가장 비싼 돈을 내고도 가장 나쁜 원수를 정수해 마셔야 하는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물융합산업 활성화와 더불어 원수 다변화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