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문] 돌고 돈 기장해수담수화시설…공업용수 생산 재추진 가닥
부산시 물 산업 육성 TF 첫 회의
- 기업·투자유치 전담 ‘특구청’ 신설
- 핀테크·자산운용사 등 북항 유치
- 10월 수도권 기업 상대 설명회
- ‘외국인 투자주간’도 부산 유치
- 전력반도체·2차전지도 모델선정
부산시가 부산형 기회발전특구 모델로 ‘부산금융특구’를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금융특구가 정부의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도록 앵커기업 선정 등 선제 대응에 나서는 한편, 과감한 인센티브 제공도 건의할 방침이다.
시는 24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제37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부산형 기회발전특구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 기회발전특구는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로, 비수도권에서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경우 정부가 세제 혜택과 재정 지원, 규제 특례, 정주 여건 개선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패키지로 지원하는 제도다. 윤석열 정부가 지방에 큰 혜택을 주겠다고 공언한 제도인 만큼 전국 지자체가 선정 준비에 나서는 등 경쟁이 치열하다(국제신문 지난달 6일 자 2면 보도).
시는 그동안 기회발전특구 유치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 산하기관 관계자들과 TF를 꾸려 부산형 기회발전특구 모델을 강구해 왔다. 그 결과 부산만의 장점과 필요성 등을 고려해 부산금융특구를 1번 모델로 선정했다. 2번은 전력반도체특구, 3번은 이차전지-모빌리티특구로 결정됐고 ▷K-콘텐츠특구 ▷바이오헬스특구 ▷첨단정보통신기술(ICT)특구 ▷해양디지털특구 등도 장기적으로 추진한다.
부산금융특구는 현재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문현금융단지와 인근의 북항2단계 일원을 대상 지역으로 한다. 문현금융단지와 연계하면서 새로운 금융 공기업과 국책 은행, 블록체인 핀테크 등 디지털 기반 기업, 자산운용사 등을 유치해 새로운 금융 클러스터를 만든다. 특히 ‘(가칭)부산금융특구청’을 신설해 금융특구에 관한 전략을 마련하고 기업 및 투자 유치에 앞장서도록 할 방침이다.
시는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기 위한 필수 요소인 앵커 기업으로 부산 이전을 추진 중인 산업은행과 금융 공기업, 국내외 유명 자산운용사를 고려하고 있다. 시 이성권 경제부시장은 “금융은 제조업과 달리 국책은행과 금융 공기업을 중심으로 민간 기업이 모여드는 구조이기에 충분히 앵커 기업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앵커기업 유치를 위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나선다. 오는 10월 서울에서 수도권 소재 유명 기업을 대상으로 대규모 투자 설명회를 여는 한편, 11월에는 정부가 주관하는 ‘외국인 투자주간’ 행사를 열어 세일즈에 나선다. 그동안 서울에서 열린 ‘외국인 투자주간’은 장관과 지자체장, 글로벌기업 CEO 등 유명 인사가 대거 참석하는 행사로, 시는 특별히 유치한 만큼 외국기업과 해외 투자자 등 영향력 있는 인사 1000여 명을 초청할 계획이다.
다만 시는 부산금융특구를 위해서는 파격적인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 등의 인센티브가 필요한 만큼, 정부가 논의 중인 기회발전특구 혜택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한편 확실한 규제 완화를 요구할 방침이다. 기회발전특구 TF와 함께 별도 자문단을 꾸려 부산금융특구 조성에 관한 전략을 수립한다.
이 부시장은 “기회발전특구는 부산의 경제 체질을 바꿀 수 있는 기회”라며 “규제 완화를 넘어 규제 철폐 수준의 과제들을 발굴해 정부에 건의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