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 관련뉴스
[생명마당] 합천+창녕 95만t 식수 개발… 절반은 부산 공급 추진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2023. 8. 25. 09:27
환경부, 통합물관리안 마련… 공론화 계획
황강·강변여과수 하루 95만t 개발
절반인 47만t 부산 공급 구상
- 합천 황강 하류에서 45만t, 창녕 강변여과수 50만t 등 경남지역에서 하루 95만t의 물을 개발해 이 중 절반에 해당하는 47만t을 부산지역에 공급하는 방안을 정부가 구상 중인 것으로 3일 확인됐다. 나머지 48만t은 동부경남(창원 31만t, 김해 10t만, 양산 6만t, 함안 1만t)에 우선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합천 갈마산 정상에서 바라본 읍내와 황강 /김승권 기자/ - 2015년 4월 수자원공사와 주민, 전문가 등이 민·학·관 공동연구단을 구성, 1개 시험 집수정을 만들어 1년간 모니터링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 창녕에서는 강변여과수 개발 때 온천수와 농업용수 부족을 우려하며 반대하고 있다. 환경부가 지난 7월 24일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었으나 반대 입장만 확인했다. 창녕길곡반대대책위원회측은 “강변여과수 개발사업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지난해 시험공을 설치, 1년간 모니터링한 결과 지하수 수위가 5m 내려갔다”며 “이는 농업용수와 온천수 확보에 피해를 입힌다는 결과인 만큼 사업을 추진할 수 없다”고 밝혔다.
- 하지만 세부내용이 공개되기 전부터 지역 반발이 거세다.
- 환경부는 낙동강 본류 수질 개선을 위한 추가 대책도 세웠다. 우선 폐수방류량이 많은 구미 공공하수처리장과 대구 성서산단 공공폐수처리시설을 대상으로 폐수무방류시스템 도입을 검토 중이다. 또 영주댐 상류, 창녕함안보 등 비점오염원이 증가하는 지류를 대상으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305억원을 들여 저감시설을 설치하고, 잦은 하수 유입으로 녹조가 빈발하거나 수질개선이 필요한 창녕군 등 9곳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한다. 남강 유역(진주, 의령, 함안)과 금호강 유역(대구, 영천, 경산)에 1874억원 규모의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을 확대하며, 소규모 하수도 시설 신·증설 등 정비를 추진한다. TOC(총유기탄소로 오염도를 나타내는 지표) 저감을 위해 남강과 금호강에 TOC 수질총량제도를 시범도입할 계획도 포함했다. 이 경우 낙동강 하류에 미치는 TOC 저감 효과가 각각 23%, 21%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 하지만 합천·창녕 등 해당지역에서 강한 반발 조짐이 일어 합의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