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경대 이승준 교수팀 분석 결과
20개 샘플 중 6개 녹조 독소 검출
1월 식약처 “불검출” 발표에 반격
환경단체, 공동조사 필요성 제기
낙동강 유역 논에서 생산한 쌀에서 녹조 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2년 연속 검출됐다는 환경단체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환경단체는 올해 초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농수산물 조사에서 ‘불검출’이 나온 것에 의문을 제기하며, 민관 공동조사를 요구했다.
낙동강네트워크와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는 13일 낙동강 유역 6곳, 영산강 1곳 등 총 7곳에서 생산한 쌀에서 녹조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지난해 3월에도 낙동강 하류에서 생산한 쌀에서 독성물질이 검출(부산일보 2022년 3월 23일 자 10면 등 보도)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분석은 부경대 식품영양학과 이승준 교수팀이 맡았다. 이 교수팀은 낙동강 중·하류 권역 20개 샘플과 영산강 하류 3개 샘플로 분석을 실시했다. 쌀은 지난해 9~11월 농민에게 샘플당 5kg씩 직접 구매했다. 분석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탠덤 질량분석기(LC-MS/MS)’와 ‘효소면역측정법’으로 2차 분석했다.
환경단체는 국내 쌀 소비량을 고려해 체중 60kg의 성인이 계속 먹는다면 하루 섭취허용량 기준을 넘긴다고 주장했다. 가장 엄격한 프랑스 식품환경노동위생안전청(ANSES)의 기준을 적용한다면 하루 섭취허용량의 5배에 달하는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섭취허용량으로 볼 때는 허용량의 12.4%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올해 초 식약처의 농산물 조사에 의구심을 제기했다. 식약처는 1월 쌀, 무, 배추 등 130건에 대해 마이크로시스틴 조사를 한 결과 모두 불검출이라고 밝힌 바 있다. 환경단체는 “식약처가 집중적으로 조사해야 할 지점은 낙동강 강변 인근과 하굿둑 인근 지역이어야 했으나, 식약처 조사 지점에서 이들 지역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단체는 정부에 민관 공동조사를 제안했다. 이들은 “녹조 문제의 바른 진단과 해결을 위한 ‘위험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공동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터저널] 탄소중립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 기후테크 본격 육성 (0) | 2023.03.15 |
---|---|
시간당 114㎜ 폭우에 대응...부산시, 강우 방재목표 상향 (0) | 2023.03.15 |
[국제신문] 기후테크로 탄소중립·성장 두 토끼 잡는다 (0) | 2023.03.14 |
[폴리스TV] 부산시·탄녹위, 기후테크 벤처·스타트업 타운홀 미팅 개최 (0) | 2023.03.14 |
[폴리스TV] 우리나라 해역 해수면, 신(新)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 시 2100년까지 최대 82㎝ 상승전망 (0)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