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 관련뉴스

[경남매일] 부산 물공급 문제 원점에서 재논의해야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2023. 4. 25. 09:23

합천군민 등 민관협의체 거부
개발 때 도민 동의 전제 무시
"경남 농락하면서 상생 강조"

합천군 "황강 광역취수장 철회"
창녕군 "강변여과수 동의 안해"
거창군 "황강 취수로 피해 안돼"


"황강 광역취수장 철회하라(합천군), 강변여과수 동의 않겠다(창녕군), 황강 취수로 인한 피해는 안 된다(거창군)." 부산식수원 경남 개발지역 도민의 반발이 거세다.

부산식수원 경남개발지역 도민들은 "부산시와 환경부가 실시설계 예산을 반영하는 등 꼼수행정으로 도민을 기만했다"며 민간협의체 거부를 전격 선언했다. <본보 1월 17일 자 1면 보도> 도민들은 "개발 때 도민 동의를 전제로 하고도 환경부는 사전 논의도 없었다"면서 "부산이 주도한 부울경은 없다, 이젠 경남시대다"라며 "남강으로, 황강으로, 창녕 함안군에 대한 강변여과수 등 입맛대로의 상수원 취수원 추진에도 도민은 철저하게 무시당했다"고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 2021년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이 도와 환경부의 일방추진에 도민들이 거세게 반발, 착공 전 동의절차를 거치기로 이면 합의했다.

이를 근거로 지난해 11월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를 위한 민관협의체`가 첫걸음을 떼면서 기대를 모았지만, 환경부 부산시 등의 일방추진으로 경남도민들이 받아들인 물 문제 협력이 2개월 만에 파산 사태를 맞았다.

특히 지난 17일 오전 10시 합천군 율곡면 낙민리 황강 죽고지구 하천정비사업 상황실에서 열린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를 위한 민관협의체` 2차 회의가 도민 반발로 파행을 겪었다.

민관협의체는 이날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 착수 보고와 기술자문 외부 전문가 구성 등의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었다. 이와 함께 수년간 논란이 돼온 낙동강 여과수ㆍ황강 복류수의 부산 일대 공급 계획도 검토할 방침이었지만 사전 동의를 무시한 것이다.

도민들은 환경부가 합천 창녕 거창군과 논의 없이 지난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시킨 점과 주민 동의 없이 기본조사업체를 몰래 선정했다는 점, 부산시를 협의체 위원에서 제외하라는 요구를 묵살한 점 등을 지적했다.

또 이들은 타당성 기초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설계비를 올해 예산에 확보한 데 대해서도 군민의 의사를 무시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도민 반발은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는 극심한 반대가 있었지만 지역 주민의 동의를 전제로 조건부 심의 의결됐다"면서 "부산 물공급 동의가 아니라는 원칙하에 대화로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민관협의체에 참여했지만, 환경부는 지역주민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무시했다"고 지적, 민관협의체 거부를 선언하는 등 `부산 물공급 문제`는 원점에서 논의돼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