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3

〔서울경제〕 먹는 샘물, 국제 수준 인증제로 관리된다

정부가 먹는 샘물을 국제수준의 인증제를 도입해 관리한다.환경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현안관계 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먹는 샘물 관리제도 개선 추진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그동안 먹는 샘물은 일반 판매가 허용된 1995년부터 등록제로 관리됐다. 작년 한국상하수도협회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민 3명 중 1명꼴로 먹는 샘물을 마시고 있다. 관련 시장규모도 작년 기준 3조2000억 원으로 늘었다. 먹는 샘물 이용과 산업성장에 맞춰 체계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해졌다.우선 환경부는 국제 수준의 먹는샘물 품질·안전 인증제를 도입한다. 인증제는 국내 해썹(HACCP·위생관리시스템)을 바탕으로 국제표준(ISO) 22000과 같은 국제인증 수준으로 설계된다. 취수, 제조, 유통 모든 과정에서 안전위해요소를 점..

〔국제신문〕 30년간 못 푼 숙원…낙동취수원 다변화

- 부산·동부경남 맑은 물 사업- 새 공급처 반발에 계속 좌절- 차기 정부 적극 중재 나서야낙동강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부산과 동부경남 주민의 숙원 ‘맑은 물 공급’에 차기 정부의 적극적인 갈등 조정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전문가들은 물 문제가 지역 간 갈등으로 이어질 우려가 큰 만큼 정부 차원의 중재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23일 국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정부의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낙동강 유역 맑은 물 공급체계 구축)’ 사업은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 사태를 계기로 국책사업으로 추진됐지만 30년 넘게 성과가 없다. 이 사업은 경남 의령과 창녕의 강변여과수와 합천 황강의 복류수를 하루 90만t 취수, 부산과 동부경남에 각각 42만t과 48만t을 공급하는 것이 핵심이다. 최근 기상이변으로..

〔WBC복지TV부울경방송〕 혼란스러운 댐 관리체계, 효율적인 대안이 필요한 시점

대한민국의 댐 관리정책은 오랜 시간동안 여러 정부부처와 기관에 의해 분산 관리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체계는 관리주체 간의 협력이 어렵고, 실질적인 문제해결에 비효율적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댐 방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환경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지자체, 기상청 등 다수의 주체가 관여하다 보니 일관된 의사결정이 어렵고, 협의 과정이 복잡해져 신속한 대응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어, 같은 지역에 위치한 댐이라도 의암댐과 춘천댐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소양강댐은 환경부가 관리한다. 이에 따라, 방류 시 환경부의 방침, 홍수 조절을 담당하는 국토교통부의 계획, 기상청의 강수량 예측, 지자체의 협의 등 각기 다른 기관과 부처의 의견을 조율해야 한다. 이러한 복잡한 구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