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 관련뉴스

[폴리스TV] 부산시·정부·정치권, '물 문제' 해결 나섰지만 주민 동의 얻지 못해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2023. 5. 23. 09:03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해결 안 된 현안

녹조로 뒤덮인 낙동강 전경

 

부산시민들은 빈번한 수질사고와 녹조로 신음하는 낙동강에서 먹는 물의 90%를 얻고 있다. 이 같은 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부경남에서 맑은 물을 끌어다 쓰는 취수원 다변화 사업을 통해 부산의 먹는 물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겠다고 부산시와 정부 그리고 정치권이 나섰지만 쉽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물 정책을 총괄하는 대통령 직속기구 위원장과 주무부처인 환경부의 차관이 최근 부산에서 개최되는 포럼에 참석해, 추진 의지를 밝혔고, 경남 합천과 창녕에서 맑은 물을 끌어오는 방안이 국정과제로 추진되고 있지만 예산편성 등 관련 절차를 밟는 것과 별개로, 가장 중요한 해당 지역주민동의를 구하지 못하고 있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 실례로 같은 광역도인 강원도 태백시와 고성군 그리고 속초시도 태백시의 상수원을 이용하기 위해 40여년이 넘는 세월동안 협상을 벌여왔으나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채 그대로다.

또한 대구광역시가 낙동강 유역 취수원 다변화 협의를 위해 안동시와 대구시는 앞으로 상수도 광역 공급체계 구축을 위한 추진 속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 환경단체들은 안동댐은 현재 카드뮴, 비소, , 아연 등의 각종 치명적 발암 중금속 칵테일로 변한 지 오래로 이는 낙동강 최상류에 있는 영풍석포제련소에서 흘러나온 발암성 중금속들이 쌓여 안동댐은 거대한 발암물질 침전조로 변해 취수원 이전이 불가하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안동, 임하댐 물은 낙동강 최상류 영품 석포제련소에 나온 각종 중금속에 오염된 물이어서 대구시민들께 공급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깨끗한 맑은 물을 공급하려면 안동, 임하댐에 쌓인 퇴적토 등 중금속 함양 물질 조사 등 맑은 물 공급 지장 여부부터 조사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부산의 물 문제해결은 부산시민이 1일 필요한 사용량인 110만 톤 중 낙동강 취수원과 경남 합천·창녕지역의 40만 톤의 물을 끌어오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향후 2030엑스포, 가덕도신공항 등에 소요될 물 공급량을 더해 물 자급을 위한 부산의 상징인 바닷물을 이용한 해수담수화와 낙동강 유역을 통한 기수담수화 시설을 통한 물 문제 자급방안을 마련하는 등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