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02

[글로벌환경신문] 강변여과수 수돗물 위험, 중금속ㆍ발암물질 못 걸러

강변여과수, 발암물질 과불화합물 고도처리정수장보다 더 위험! 발암물질인 과불화합물이 수돗물에 검출이 된 후 낙동강 유역권 시민들의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정부의 물정책 전반과 정부의 발표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부산에서도 시민들이 물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가토론회를 개최한 결과 부산시의 안심수돗물 대책은 남강댐 취수원 이전과 강변여과수 개발로 귀결되었다. 그렇다면 강변여과수가 현재의 부산 정수장물보다 더 깨끗하고 안전한 물인가?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시민들에게 수돗물이 안전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정수장을 대상으로 발암물질로 알려진 과불화화합물 검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정수장 51곳 모두 문제없는 수준이라고 발표하였다. 하․폐수 처리장 42곳 중 37곳의 하․폐수 방류수..

[글로벌환경신문] 부산수돗물, '댐관리규정'개정하고, 식수전용댐 설치하라

다목적댐과 상공용수댐을 식수전용댐으로 전환하여 물빈곤에서 벗어나자 김귀순의 창 우리나라는 안전한 먹는 물이 부족한 나라로 널리 인식되어 있다. 과연 그러할까? 부산시민이 안전한 수돗물을 먹을 수 있는 그 날은 언제 올 것인가! 물부족시계(WATER SCARCITY CLOCK)에 따르면 2020 한국 물 부족 인구는 전체인구 5천 38만 인구중 23,692,390명으로 약 47%에 해당된다. *우리나라 물빈곤 비율 47% 이렇게 우리나라가 물부족 국가로 분류되고 있는 것은 물이 부족해서라기 보다 있는 물 이용을 잘 하지 못한 결과라고 본다. 산이 깊고 여름 강우량이 많아 풍부한 물이 있는 우리나라가 여름 폭우시 물을 저장하지 않고 강으로 흘러 보내고 있다. 반면 저장된 깨끗한 상류 댐물은 농사짓고 공업용수..

[부산일보] 곳곳 물길 막힌 빗물받이…수마에 길 터주는 초대장

부산일보 취재팀 긴급 점검 중앙동 20개 중 15개 위 ‘덮개’ 서면 골목 도심 상황 대동소이 악취 차단판도 파손 방치 많아 관리 안 돼 침수 막기에 역부족 13일 부산 중구 부평동 일대의 빗물받이가 덮개로 막혀 있다. 김종진 기자 기습적이고 국지적인 폭우가 빈번해지면서 도시의 기초 재난 대응력이 강조되고 있다. 침수 발생 시기와 장소를 예측하기 어려워진 만큼, 빗물받이와 투수블럭 등 도시 전역에 퍼져있는 기본적인 침수 예방 설비가 도시형 침수 피해를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것이다. 13일 오전 10시께 부산 중구 중앙동 3가의 한 골목. 40여m 골목길 양옆으로 3~4m마다 빗물받이가 설치돼 있다. 하지만 빗물받이 20개 가운데 15개가 검은색 고무 덮개로 덮여 있다. 빗물받이는 도로에 떨어진 ..

[워터저널] 제2기 유역물관리위원회 출범, 유역 중심 통합물관리 본격 추진

환경부 장관과 유역별 민간위원장을 공동위원장으로 총 162명 구성(위촉직 87, 당연직 75) 국가물관리 위원회는 4개의 유역 물관리위원회(이하 '위원회')의 제2기 위원들의 위촉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위원회는 12일 낙동강을 시작으로, 13일 한강과 금강, 14일에는 영산강·섬진강유역물관리위원회의 위촉식을 각각 개최한다. 유역별 위촉식 개요[일정순). [자료제공 = 환경부] 위촉식에서 배덕효 공동위원장은 지난 6월 2일 대통령이 임명한 4명의 유역물관리위원회 위원장에게 임명장을 전수하고, 나머지 위촉위원 83명에게는 위촉장을 수여한다. 4개 유역별 위원회의 위촉위원은 위원장 4명을 포함하여 총 87명으로 구성된다. 한강 위원회는 전경수 위원장(61세, 성균관대 교수)을 포함하여 24명, ..

[워터저널] 수소로 시멘트 제조…남호주 '그린시멘트 프로젝트' MOU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전경 [사진제공 =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이 그린수소를 생산해 시멘트 산업의 탄소 중립에 기여하기 위한 '남호주 그린시멘트 전환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이와 관련해 한수원은 11일(현지시간) 남호주 주정부 에너지광업부에서 '남호주 그린시멘트 제조용 그린수소 생산 사업을 위한 양해각서(MOU) 및 수소사업 협력 성명서'를 체결했다. 이 자리에는 남호주 주정부, '일렉시드', '할렛그룹' 등이 참석했다. 일렉시드는 호주에 기반을 둔 신재생 및 그린수소 프로젝트 개발 전문기업이다. 할렛그룹은 시멘트 등 건축자재 제조사다. 호주 정부로부터 한화 약 170억원의 지원금을 받아 그린시멘트 전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인 시멘트 제조에는 석탄 등 화석연료나 폐기물이 사용되기 때문에..

[프레시안] 천연기념물 지정된 낙동강하구 무인도 '쓰레기 수거' 본격 시작

해수부, 철새 휴식·산란장소에 대한 대형폐기물 정화사업 10월 마무리 철새들의 휴식·산란장소인 낙동강하구 진우도 등 인근 섬에 대한 쓰레기 수거작업이 실시된다. 해양수산부는 낙동강하구에 있는 진우도 등 7개 섬에 대한 쓰레기 수거사업을 이번 달 중순부터 본격 시작해 10월 말까지 111t의 쓰레기를 수거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낙동강하구에 있는 이 섬들은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철새들의 휴식·산란장소로 이용되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나 낙동강으로부터 바다로 유입되는 물질의 퇴적지여서 쓰레기도 지속적으로 쌓여 방치되고 있었다. 관할 지자체가 청소를 하고 있으나 접근이 어려운 구역이 많고 폐선박, 폐컨테이너 등 대형폐기물이 많아 대대적인 정화사업이 필요하다는 시민단체 등의 의견이 있었다. 이에 해수부..

[워터저널] “여성과 소녀들은 물과 위생 위기에 직면”

전 세계 22억명이 가정 내 식수 부족34억 명은 안전하게 관리되는 위생시설 없어 15세 이상의 여성·소녀는 10가구 중 7가구에서 주로 물 긷는 책임을 지고 있어 유니세프·WHO, ‘가정 내 안전한 식수, 위생시설 및 위생 서비스(WASH)에 관한 경과 2000∼2022 : 성별에 대한 특별한 초점’ 보고서 공동 발간 유니세프(UNICEF)와 세계보건기구(WHO)가 7월 5일 발표한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여성이 가정의 물을 긷는 일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는 반면, 소녀는 소년보다 거의 2배 더 많은 책임을 지고 매일 그 일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정 내 안전한 식수, 위생시설 및 위생 서비스(WASH ;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국제신문] 도로 물청소 후 폐수는 하천에 콸콸?…부산시 7개 구군 적발

수영·기장·금정·해운대 등 폐수 마구 흘려보내 방지시설 없이 배출 때 조업정지 및 폐쇄가능 시 "법 위반 후속 조치하고 재발책 마련" 지시 생활폐기물을 수거하고 도로 위 미세먼지를 빨아들이는 부산 기초지자체 청소차량의 부적절한 폐수 처리로 수질, 토양 오염을 야기하는 걸로 드러났다. 시는 감사에서 적발된 7개 구·군에 기관 경고 조치를 내렸다. 13일 시 감사위원회에 따르면, 부산 7개 구·군 청소 차량 차고지에서 수질오염방지시설을 제대로 설치하지 않는 등 부적절한 폐수 처리로 인해 인접한 강과 토양을 오염하는 사례가 적발됐다. 물환경보전법에 따르면, 청소 차량을 세차하는 시설은 폐수 배출 시설로, 수질오염 방지시설을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폐수를 배출하면 조업 정지 또는 폐쇄 ..

[국제신문] ‘국가녹조대응센터’ 설립 근거 마련됐다… 물환경보전법 일부개정안 발의

조해진 의원 등 악동강 유역 국회의원 등 17명 공동발의 환경부-낙동강유역 지자체 공조 녹조 컨트롤타워 역할경남도가 낙동강 수질 개선과 관리를 전담할 국가기관으로 추진하는 국가녹조대응센터의 설립 근거가 마련됐다. 지난해 경남 양산시 원동면 한국농어촌공사 화제양배수장 인근 낙동강에 발생한 녹조. 국제신문DB8일 경남도에 따르면 ‘물환경보전법 일부개정안’이 지난 7일 조해진 의원을 비롯한 낙동강 유역 국회의원 등 17명에 의해 공동 발의됐다. ‘국가녹조대응센터’는 녹조 발생에 따른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녹조 대응 통합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관이다. 경남도는 올해 낙동강 수질 개선을 위해 3329억 원을 투입하기로 한 가운데 지난 4월 환경부를 방문해 낙동강 최상류부터 ..

[폴리스TV] [주목 받는 기업] 모리스앤코(주), 자연재난대비 ‘이동식 차수막’설치…집중호우 피해 최소화

기후변화로 국지성 호우 증가와 매년 여름철이면 슈퍼 엘니뇨현상으로 갑자기 ‘물 폭탄’이 쏟아져 건물지하나 점포와 매장 등에 물이 들어와서 기계설비나 자동차 그리고 상품 등에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친환경 벤처기업 모리스 앤코(주)는 물 분야개발 노하우로 방재분야에 앞서가며 집중폭우에 대비해 호텔, 건물지하주차장, 저지대 건물이나 점포와 매장 등에 침수피해를 최소화하는 ‘이동식 차수막’을 침수가 예상되는 곳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설치하여 재난상황을 예방한다. 모리스앤코(주)에 생산하는 ‘이동식 차수막’은 설치 및 보관이 간편하고, 도시의 아스팔트나 시멘트 지반 등 평지에 설치하기 적합하며 사전에 ‘이동식 차수막’을 준비해 놓으면 재난상황에서 빠른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7일 모리스앤코(주) 김의중 ..